>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인천경실련은 인천시와 한 몸이 되었나?

보 도 자 료
발 신 : 인천평화복지연대
수 신 : 각 언론사
일 시 : 2024. 10. 22
제 목 : 인천경실련 인천시와 한 몸이 되었나?
연락처 :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 (010-8826-6188)

 

인천경실련은 인천시와 한 몸이 되었나?

 

1. 인천경실련이 인천시 감사결과 발표에 이어 민선 7기에 운영된 인천시 주민참여예산과 평화도시조성사업을 타켓으로 연이은 성명을 발표했다. 시정을 감시해야 할 시민단체가 시민단체를 탄압하려는 시정과 한 몸이 돼 지속적인 행보를 하는 것이 안타깝다.

 

2. 인천시는 지난 9월 말 민간단체 보조금 집행내역에 대한 감사결과를 발표 후 관련 단체에 환수 조치 등을 통보하고 수사를 의뢰했다. 이에 대해 인천지역 시민사회는 윤석열 정권이 보조금 이권카르텔을 운운하며 시민단체를 탄압해온 것과 똑같은 행태라고 비판했다. 이와 달리 인천경실련은 인천시의 감사결과 직후 수사를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이 성명에는 2023년 정승연 국민의힘 인천시당 전 위원장(인천경실련 전 정책위원장, 현 대통령실 정무2비서관)이 인천평화복지연대를 고발한 사건에 대해서도 수사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윤석열 정부가 보조금 관련 감사를 통해 시민단체 때리기를 하면 국민의힘 시민단체선진화특별위원회가 시민단체에 대해 왜곡·허위주장을 확산시켜 온 모양과 같다.

 

3. 인천경실련 전 정책위원장이 인천시 시정혁신단장을 하고, 이어 김송원 사무처장(중앙경실련 조직위원장)이 현재 시정혁신단장을 겸직하고 있다. 이러다 보니 한 언론에 인천경실련과 김 사무처장은 시정의 파트너(partner)인가, 여전히 감시자(watchdog)인가라는 우려 섞인 칼럼도 등장했다. 인천시의 보조금 감사결과를 대하는 인천경실련의 성명과 시민단체에 대한 수사 촉구 등 연이은 성명은 지역사회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시민단체가 감시자와 민관협치의 수준을 넘어 인천시와 국민의힘 인천시당의 행보와 한 몸이 된 것이다.

 

4. 뉴홍콩시티와 수도권매립지 종료 공약 파기, 주민참여예산 축소, 인천상륙작전 대규모화로 전쟁도시화, F1 추진으로 혈세 낭비 등 민선 8기 인천는 시민의 눈높이에서 비판받아야 시정들이 많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시민사회와 함께 잘 못 된 시정에 대해 더 강력히 감시자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인천경실련도 시민단체의 위치에서 역할을 함께 하길 바란다.

 

2024. 10. 22

인천평화복지연대

 

 

인천경실련은 인천시와 한 몸이 되었나.hwp
0.19MB